울산바위 릿지 설악산 울산바위 릿지 나드리길 구 분 등 반 방 식 난이도 등반 거리 하강 거리 총피치 걷는 거리 총거리 등반 하강 1지점 지옥문 통과 5.3 10 1 50 60 2지점 숲지대 클라이밍다운 5.2 30 80 110 3지점 큰 동굴 통과 5.3 10 1 80 90 4지점 반침니 등반 5.5 15 1 43 58 5지점 고사목 등반 5.3 3 1 78 81 6지점 좁은 동굴 통과 5.3 .. 등산 2009.03.10
중국 산동성 라오산 중국 산동성 라오산 - 청도 바닷가와 맞닿아 솟검은 ‘중국 설악산’ ▲ 태청궁 사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검표소. - 7개 구역으로 구분되는 라오산 라오산은 설악산을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하듯 7개 구역으로 구분한다. 동쪽 해안과 가까운 앙구경구(仰口景區)와 기반석경구(棋盤石景區), .. 등산 2009.03.09
중국 절강성 안탕산 중국 절강성 안탕산 - 소리가 없어도 웅혼한 울림 느껴지는 영암(靈岩) 계곡에 들다 - A5급 풍경구다운 절경의 기암절벽들 온 산중에 널려 중국엔 중국 정부가 A자 다섯 개를 붙인 최상급의 여유경구(旅游景區ㆍ관광경승지)가 66개 있다. 66이란 숫자가 주는 어감으로는 많구나 싶지만, 면적 대비로 보면 .. 등산 2009.03.09
‘백두대간 전망대’평창 계방산 ‘백두대간 전망대’평창 계방산 겨울철 설경이 백미인 계방산은 백두대간 등줄기를 한눈에 바라 볼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전망대다. 비록 인접한 오대산의 명성에 가려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때묻지 않은 아름다움을 오롯이 간직하고 있어 등산 마니아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곳이다. 강원 평창.. 등산 2009.03.01
강원 홍천군 가리산 강원 홍천군 가리산 ㆍ진달래 필 때면 백두대간도 ‘기웃’ 가리산은 봄철 산행의 최적지다. 강원 도내 이름난 산 가운데 봄의 전령사인 진달래가 가장 많이 피는 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화려하지는 않아도 주변 산세와 어우러져 더 큰 아름다움을 발하는 꽃이 바로 진달래다. 가리산 산중을 뒤덮.. 등산 2009.03.01
강원도 정선·평창 백운산 강원도 정선·평창 백운산 ㆍ산세에 반해 동강은 몸을 꼬고… 강원 정선군 신동읍과 평창군 미탄면에 걸쳐 있는 백운산(白雲山)은 ‘동강의 전망대’로 불린다. 해발 882.4m인 이 산은 댐 건설 논란 이후 천혜의 비경이 세간에 알려지며 국민의 강으로 사랑받고 있는 동강의 한 가운데에 살포시 자리잡.. 등산 2009.03.01
전남 담양·전북 순창 추월산 전남 담양·전북 순창 추월산 ㆍ가을밤 달빛에 취하고 단풍에 물들고… 전남 담양군 용면과 전북 순창군 복흥면을 걸쳐 둥지를 튼 추월산(秋月山·731m). 추월산 정상에서 바라본 담양호 풍경은 한 폭의 수묵화를 연상케 한다. <전남도청 홍보실 제공> 산세가 급하고 기암괴석이 많아 언뜻 악산처.. 등산 2009.03.01
덕유산 무주·장수·거창·함양 덕유산 ㆍ母山자락 ‘휘휘’ 눈부신 설화 덕유산은 덕이 많고 너그러운 모산(母山)이라 하여 ‘덕유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과 함양군에 걸쳐 있다. 주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해발 1300m 안팎의 장중한 능선이 남서쪽을 향해 장장 3.. 등산 2009.03.01
원 춘천·화천 용화산 강원 춘천·화천 용화산 ㆍ호수에 발 담근듯 하늘이 만든 분재 강원 화천군 간동·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 경계에 솟아 있는 용화산(龍華山)은 암릉미가 일품인 호반 산행지다. 용화산 정상은 빼어난 암릉미를 자랑하며 많은 등반객을 불러들이고 있다. <화천군 제공> 해발 878m의 이 산은 사방을 .. 등산 2009.03.01
어머니 젖가슴처럼 포근하다, ‘삼재 없는 명당’ 오대산 어머니 젖가슴처럼 포근하다, ‘삼재 없는 명당’ 오대산 ㅣ 불교의 성지로 유명한 오대산은 삼재가 들지 않는다고 해서 조선시대 사고가 자리했던 명당 중의 명당이다. 300년 동안 무사했던 오대산 사고의 기구한 운명은 천재를 피해도 인재는 피할 수 없었던 우리 근․현대사의 상처를 들추는 듯하.. 등산 2009.03.01